본문 바로가기

주식

엑세스바이오 주가 분석, 상승 이유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4년 8월 7일 장 마감 기준으로 엑세스바이오(950130)의 주가 동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엑세스바이오 주가 분석, 상승 이유

 

 

 

 

 

주가 동향

 

종가: 9,210원

전일 대비: +2,120원 (+29.90%)

거래량: 14,525,244주

거래대금: 1,238억 8,700만원

 

엑세스바이오는 오늘 코스닥 시장에서 상한가를 기록하며 눈에 띄는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전일 대비 29.90% 상승한 9,210원으로 마감했습니다.

 

 

 

 

투자자별 매매 동향

 

외국인: 37,466주 순매도

기관: 데이터 없음

 

외국인 투자자들은 소폭 순매도를 보였습니다.

 

 

주요 거래원

 

매수 상위: 키움증권,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매도 상위: 키움증권, 미래에셋증권, 한국증권

 

키움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이 매수와 매도 모두에서 상위를 차지했습니다.

 

 

 

 

 

기업 실적

 

2024년 1분기 실적:

 

매출액: 351억원

영업이익: 22억원

당기순이익: 26억원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은 감소했지만,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흑자 전환에 성공했습니다.

 

 

 

 

투자 지표

 

시가총액: 3,349억원 (코스닥 197위)

PER: N/A (2024년 3월 기준 EPS: -1,146원)

PBR: 0.55배 (2024년 3월 기준 BPS: 16,652원)

 

 

 

 

주가 상승 이유

 

1. 코로나19 진단 키트 관련 호재

 

FDA 승인: 엑세스바이오는 코로나19 진단 키트 관련하여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긴급사용승인을 받았습니다. 이는 제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의미이며, 향후 매출 증가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글로벌 시장 진출 기대감: FDA 승인을 통해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매출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습니다.

 

경쟁 우위 확보: 경쟁사 대비 우수한 기술력이나 제품 경쟁력을 갖추었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투자심리가 강화되었습니다.

 

 

 

2. 테마주 효과

 

코로나19 관련주: 엑세스바이오는 코로나19 진단 키트 관련주로 분류되면서 테마주 효과를 누렸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 집중: 테마주는 개인 투자자들의 관심을 집중시키기 쉽고, 급격한 주가 변동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투기적인 성격 강화: 테마주는 투기적인 성격이 강해, 실제 기업 가치와는 무관하게 주가가 급등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기타 요인

 

낮은 기저효과: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저조했던 실적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실적을 기록하면서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정부 정책: 정부의 바이오 산업 육성 정책이나 관련 규제 완화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수 있습니다.

기관 투자자들의 유입: 일부 기관 투자자들이 엑세스바이오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면서 주가 상승을 견인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주의해야 할 점

 

단기적인 변동성 심화: 테마주는 단기적인 변동성이 매우 심하기 때문에 투자에 신중해야 합니다.

정보의 비대칭성: 개인 투자자들은 기업의 내부 정보에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손실을 볼 가능성이 있습니다.

허위 정보에 대한 주의: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유포되는 허위 정보에 속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마무리

 

엑세스바이오는 오늘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이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습니다. 최근 실적 개선과 함께 시장의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주가 변동성이 큰 만큼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실적 추이와 업계 동향을 주목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투자는 항상 신중하게 결정하시고, 본인의 투자 성향과 리스크 감내 능력을 고려하여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오늘 소개해 드린 정보가 여러분의 투자 결정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엑세스바이오 주가 분석, 상승 이유

반응형